회사에서 일한 경험이 없어
경험을 쌓기 위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인턴'
그런데, 인턴 말고 계약직은 어떠세요?
인턴과 계약직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자신에게 좋은 경력을 쌓을 수 있는 인턴은 어떤 것일까요?
대부분의 지원자들은
대기업 인턴이 좋은 인턴이라고 대답하는데요.
인턴을 지원하고 경험을 할 때에도
이것을 빼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직무'
사회생활에 첫걸음이라고 여길 수 있는
인턴 입사를 선택하는 시점에도
직무 설정을 잘못 잡는다면 전체 커리어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지?
내가 잘하는 것은 무엇인지?
내가 어떤 일을 했을 때, 평생 그 일을 해도 지겹지 않을지
이러한 개념을 머릿속에 가지고서 직무를 설정하셔야 합니다.
인턴을 선택할 때에도
원하는 직무에 최대한 가까운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턴을 하나의 경험으로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우선 일을 해 보고 나서
직무가 자신에게 맞을지 안 맞을지 판단해보고,
신입사원 지원 때 바꾸겠다는 생각일 수도 있습니다.
만약, 그러한 경우에도 올바른 판단 기준을 만들기 위해서도
반드시 직무에 대한 고민을 하신 후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그러한 판단 기준을 가지고 판단을 해야만
내가 왜 이 직무에 맞지 않았는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고
어떤 분야로 가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가질 수 있습니다.
직무에 대한 선택과 더불어
인턴을 할 때 중요한 점은
바로
'회사 이름'
입니다.
인턴을 경험하실 때,
국내 대기업이나 외국계 기업이나
이름이 있는 회사,
혹은
내가 아는 회사에서 인턴을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생기업이나
혹은 중소기업에서 아무리 많은 인턴경험을 쌓아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기업에서 인턴이라고 여기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그저 아르바이트 수준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현재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수시채용에 대비한 전략을 가지고 계실 텐데요
인턴의 경력을 쌓고 나면
지원하려고 했던 공채는
이제 점점 줄어듭니다.
취업을 하는 루트는 매우 다양하지만,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올바른 방법을 알려주는 곳은
바로, 커리어브릿지입니다.
계약직을 이용해라
외국계 기업의 경우에는
인턴 외에도 계약직을 활발하게 채용하는데요
신입의 경우에도 이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계약직의 경우에는,
인턴과는 다르게
회사 내의 복지 혜택까지 받을 수도 있습니다.
급여도 연봉으로 책정되어 받기 때문에
인턴보다는 월급이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 편입니다.
계약직의 경우에는
보통 회사에서 경력으로 인정받아 연차가 쌓이기도 합니다.
계약직으로 1년 이상 근무한 경우,
1년 차로 이직이 가능한 점도 계약직을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인턴의 경우에는
1년을 일하더라도 경력으로 인정받기는 어렵습니다.
이러한 점이
인턴과 계약직의 큰 차이점입니다.
계약직이라는 타이틀 때문에
선입견을 가지고 계신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때때로,
인턴을 가야 할지, 계약직을 가야 할지
선택의 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계약직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인턴을 선택하는 지원자들이 있습니다.
외국계 기업의 시스템 상
한정된 인원으로 운영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계약직을 많이 활용합니다.
경력직 이외의 신입을 뽑을 때나
단기적으로 인력이 추가로 필요할 때,
연봉을 맞춰주지 못하는 고급 인력을 채용할 때
주로 활용하는 인사제도입니다.
경력이 아예 없거나, 나이가 아직 어리다면,
일단 아무 회사나 걸려라 라는 식의
마구잡이식 지원보다는
좋은 회사에 인턴 혹은 계약직으로 지원하세요
본인이 원하는 직무
자신이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마지막으로,
외국계 기업은 아무 경력이 없는 신입은
'신입 정규직'을 채용할 때조차 거의 채용을 하지 않습니다.
또한,
외국계 기업은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 신입을 뽑지 않는다는 점
잊지 마세요
그리고,
외국계 기업은
내부 채용을 우선으로 한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신입인 경우,
인턴과 계약직을 잘 활용하면
커리어 패스에 많은 도움이 되고,
능력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됩니다.
커리어브릿지는 여러분의 성공 취업을 응원합니다.
'Employment > 취업을 말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계 기업 취업하기] 면접에서 합격하기 위한 노하우 3가지! 이것만은 알고 면접장에 들어가세요! (0) | 2021.08.13 |
---|---|
외국계 기업 취업, 이직] 이전 직장에 대한 평판조회, 레퍼런스 체크(Reference Check) 정말로 시행하나요? (0) | 2021.08.10 |
취업 초보] 직무와 산업군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0) | 2021.07.29 |
외국계 기업 취업] 영어를 잘 못해도 외국계 기업 취업 가능해요? 영어 점수 커트라인이 몇 점인가요? (0) | 2021.07.04 |
외국계 기업 취업] 몇살까지 신입으로 입사 가능한가요? (0) | 2021.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