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제가 학교 졸업 후 다른 과(분자생물학과)로 편입 후
또 인턴 준비하다가 안돼서 영국 워홀로 갔다 와서32살이거든요ㅠ
알바경력만 여러 군데 있고, 회사 경력은 없어요
공기업 준비도 하고 있고요. 토스 150에 토익은 잘 안 나와서 670
이런 경우 디지털 마케팅이나 상품 마케팅 쪽으로 나이 때문에 갈 수는 없는 건가요?
그리고 VMD직무는 무조건 디자인 쪽 전공으로 해야 하나요?
직무에 필요한 어떤 것을 준비해야 하는지요. 인턴에 넣어서 되지 않아서요ㅠ
앞에 설명해주신 내용을 봤을 때
나이가 많다라는 부분에 대한
문제만 쓰신 건 사실 아닌 것 같고
나이가 많다라는 점보다 문제점은
-전공하는 학과가 생각하는 직무와 연관성이 없다
-학과 편입
-인턴 준비 중 워홀 간 것
인 것 같습니다
인턴 하셨던 업무나 워홀 가셔서 하셨던 업무가
이게 만약에 일반적으로 사무보조 업무 하시다가
워홀 가셔서 전혀 상관없는
매장 아르바이트나 매장 관리 이런 거 하셨다고 하면
지금 전혀 커리어적인 맥락이 없는 상태로 보입니다
사실 나이가 32살인 것 자체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진짜 문제점은..
-나이에 비해 커리어 정리가 안 되어 있다
-전 이력들이 가려는 직무와 연계가 없다
인 것 같습니다..
알바 경력만 여러 군데에 있고 회사 경력은 없어요
사실은 30대 초반 정도 되면 일반적으로 취업을 했을 때
대리급 혹은 과장급 이상도 가능한 나이입니다
대기업 말고 외국계 기업이나 규모가 작은 소기업이나
혹은 스타트업으로 시작을 하시면 취업이 가능한 나이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다만 입사를 하는 기점에서
팀 내부에 있는 "내 사수보다만 어리면 돼.." 이렇게 말씀을 드렸었는데
내가 일단 들어갈 수 있는 포지션 자체가 확률적으로 당연히 나이가 많으면
어린 사람보다 들어갈 자리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어느 정도 가지고 가셔야 합니다
공기업 준비도 하고 있고요.
또 공기업을 준비하신다고 하셨는데
지금 직무적인 준비가 되신 상태가 아닌 것도 문제고
30대 초반 나이에도 불구하고
그 전의 커리어가 일관성이나 연계성이 좀 많이
떨어져 있는 상황인 것도 문제입니다
그런데 공기업까지 생각하신다라는 건
취업의 방향도 되게 애매모호한 상태인 것 같아 보여서
공기업 준비보단 취업 방향 정리가 우선인 것 같습니다
토스 150에 토익은 잘 안 나와서 670
토스나 토익같은 경우는
제가 그렇게 점수에 크게 연연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말씀드리긴 했는데
토스 - 150점(6LEVEL / 토익점수로 환산 시 800점대 후반)
토익- 670점(점수 환산표 참고 / 환산 불가)
이렇게 레벨 차이가 심할 경우에 낮은 레벨 점수는
기재를 안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경우 디지털 마케팅이나 상품 마케팅 쪽으로 나이 때문에 갈 수는 없는 건가요?
디지털 마케팅이나 상품 마케팅을 이야기하셨는데
직무 자체가 이렇게 가는 게 나이 때문이 아니라
지금 그 전의 이력이나 직무 방향성 때문에
더 진입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서부터 다시 준비를 해서
시작을 할 수 있는 시점이 됐을 때는
적어도 마케팅 관련 업무를 시작하려면
직무와 연관된 지식과 이력을 쌓는 게 좋습니다
어느 정도 이력 정리가 되면 그다음에
스타트업이나 글로벌 기업에 포지션에서 시작을 하셔서
올라가시는 방법으로 생각하셔야 될 것 같고
현재 상황에서는 넓은 범위로 알아보는 게 낫습니다
직무를 추려서 준비를 하라는 건
인사랑 마케팅 둘 다 할래요 이런 식일 때
인사든 마케팅이든 하나만 하라는 의미입니다
마케팅 자체 안에서 여러 분야를 세부적으로 나눠서
'온라인 마케팅이면 온라인 마케팅 브랜딩만 하고 싶어요' 이렇게 가기가
지금의 이력으로는 세부적으로 정하면 힘들어진다라는 것을
알고 준비하시는 게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VMD직무는 무조건 디자인 쪽 전공을 해야 하나요?
VMD자체가 인테리어 쪽이 연관이 많이 되기 때문에
VMD직무는 디자인 전공자가 주류인 것은 확실히 맞습니다
그리고 내부적으로 업무 하실 때도
디자인 전공이 아니셔서 혹은 건축 쪽 전공이 아니셔서
스트레스받으실 일이 굉장히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지금 앞에서 마케팅 얘기하시다가
MD 쪽 직무 얘기하시고 공기업 얘기도 하셨는데
너무 지금 분산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목표 상황을 정리하는 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 같습니다
직무에 필요한 어떤 것을 준비해야 되는지요. 인턴에 넣어서 되지 않아서요ㅠ
인턴이 안 되시는 건
지금 신입사원보다 나이가 엄청 많으신 상황이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는데 나이도 나이지만
나이에 맞게 준비된 역량이나 이런 것들이
이력서나 서류상으로 보이기가 어려운 상황인 것 같습니다
목표 상황을 깔끔하게 정리해주시고
그 직무에 필요한 지식적인 부분, 실무적인 부분들을
사전에 이력으로 만들어주시고
그것을 발판으로 회사 지원을 하시는 게
가장 시급하게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준비 잘하시고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
커리어브릿지는 여러분의 성공 취업을 응원합니다.
'Career > 커리어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계 기업 취업하기] 스타트업 입사, 커리어 시작으로 괜찮을까요? (0) | 2021.11.01 |
---|---|
[외국계 기업 취업하기] 30살 무경력. 토익, 오픽, 인턴 경험 쌓고 내년부터 지원해도 되나요?? (0) | 2021.10.18 |
외국계 기업 취업하기] 데이터 분석 취업, 이력이 없는데 가능할까요? (0) | 2021.09.20 |
취업준비기간 공백기 해결! 구멍난 이력, 외국계 기업 취업에 성공할 수 있나요? (0) | 2021.06.24 |
외국계이직고민과 직무전환고민: 중고신입! 경력과 다른 분야 지원, 신입으로 준비해야 하나요? (0) | 2021.06.10 |